Menu
부조묘

부조묘(ä¸ç¥§å»Ÿ)

 

 부조(ä¸ç¥§)란 유공유ë•(有功有德:ê³µì´ ìžˆê³  ë•í–‰ì´ ìžˆìŒ)한 ìžì—게 내려지는 특별(特別)한 ì€ì „(æ©å…¸:ì€í˜œë¥¼ ë² í’ˆ)으로 ìƒë¡€(常例:ë‘리 ë§Žì´ ìžˆëŠ” 사례)ì¸ í˜„ì†(玄孫)ì—서 기제사(忌祭祀)를 마치고 신주(神主)를 매안(埋安:ë¬˜ì „ì— ë¬»ìŒ)하는 것ì´ë‚˜ êµ­ê°€(國家)ì—서 불천지위(ä¸é·ä¹‹ä½:옮기지 아니한 ë¶„)로 ìžì†(å­å­«)ì—게 ì˜ì›(æ°¸é )히 제사(祭祀)를 받들ë„ë¡ íŠ¹ë³„(特別)히 지정(指定)한 것ì´ë‹¤.

 그 반면(åé¢)ì— ë§¹ìž(å­Ÿå­:순나ë¼ì˜ ì„±ì¸ ìžì—¬(å­è¼¿))ê°€ ì´ë¥´ê¸°ë¥¼ 「군ìž(å›å­:í•™ì‹ê³¼ ë•ë§ì´ 있는 사람)ì˜ ë•íƒ(德澤:남ì—게 미치는 ì€ë•ì˜ ë•íƒ)ë„ ì˜¤ì„¸(五世:오대조 현ì†ëŒ€)ì— ëŠì–´ì§€ê³  소ì¸(å°äºº:ìˆ˜ì–‘ì´ ë¶€ì¡±í•œ 사람)ì˜ ë•íƒ(德澤)ë„ ì˜¤ì„¸(五世)ì— ëŠì–´ì§„다(å­Ÿå­æ›°å›å­ä¹‹æ¾¤ 五世而斬 å°äººä¹‹æ¾¤ 五世而斬)〠고 하였으니 ì¼ë°˜(一般) 사람ì´ë‚˜ ë˜ ë•ë§(德望:ë•행과 ì¸ë§)ì´ ë†’ì€ ì„±í˜„(è–è³¢:성ì¸ê³¼ í˜„ì¸ ì¦‰ 성철) êµ°ìž(å›å­)나 가린 것 ì—†ì´ ê¸€ë“¤ì˜ ë¼ì¹œ ì€í˜œ(æ©æƒ )ê°€ ë‹¤ê°™ì´ ì˜¤ëŒ€(五代)ì— ê·¸ì¹œë‹¤ëŠ” 뜻ì´ë‹¤.

 즉 기제사(忌祭祀:기ì¼ì— 지내는 제사)는 사대봉사(四代奉祀:ê³ ì¡°, ì¦ì¡°, ì¡°ë¶€ ë˜ëŠ” 아버지 등 四대를 받들어 ì§‘ì—서 제사 함)ê°€ ì›ì¹™(原則)으로 오대(五代)ì— ì´ë¥´ë©´ 친진(親盡:ì¹œí•¨ì´ ë‹¤í•¨ 즉 ëŒ€ì§„ì˜ ëœ»)ì´ë¼ 하여 신주(神主:ìœ„ì±„ì˜ ëœ»)를 매안(塊安)하고 묘제(墓祭:ì‹œí–¥ì˜ ëœ»)를 지내는 것ì´ë‚˜ 부조묘(ä¸ç¥§å»Ÿ)는 ì´ì— 구애(拘礙:ê±°ë¦¬ë‚Œì˜ ëš¯)받지 않고 ì˜ì›(æ°¸é )히 기제(忌祭)를 지내는 것ì¸ë° 혹 유추해ì„(類推解釋:미루어 ì§ìž‘으로 쫓아서 없임)하며 주간(æ™é–“:낮시간)ì— ì§€ë‚´ëŠ” 경향(傾å‘:ì¼ì´ì¹˜ì–´ê°€ë¡œ 형편)ì´ ìžˆìœ¼ë‚˜ ì´ëŠ” 예ë„(禮度)ì— ì–´ê¸‹ë‚˜ëŠ” ì¼ì´ë¯€ë¡œ 유ë…(留念)해야 한다.

그러므로 우리 경주정씨(æ…¶å·žé„­ æ°)ì˜ ê°€ë¬¸(å®¶é–€)ì— ë‘ ë¶„ì˜ ë¶€ì¡°ë¬˜(ä¸ç¥§å»Ÿ)ê°€ ìžˆì„ ë¿ì´ë‹¤.

구분(å€åˆ†) 제사(祭祀) 주소(使‰€) 관계(關係)
양경공부조묘(良景公ä¸ç¥§å»Ÿ) 양경공í¬ê³„(良景公熙啓) 경기ë„안성시서운면송전리
(京幾é“å®‰åŸŽå¸‚ç‘žé›²é¢æ¾ç”°é‡Œ)
문충공(文忠公)ì˜ ìž¥ìž(é•·å­)
제안공부조묘(齊安公ä¸ç¥§å»Ÿ) 제안공효ìƒ(齊安公å­å¸¸) 경기ë„파주시금릉ë™191-8 ì„ ì˜
(京幾é“å¡å·žå¸‚金陵洞191-8 先塋)
노송정공(è€æ¾äº­å…¬)ì˜ ì°¨ìž(次å­)